압류방지통장 개설 신청
☑️ 행복지킴이 압류 방지통장 (시중은행)
장점
- 복지금 전액 압류 방지
- 다양한 은행에서 개설 가능
- 수수료 감면 혜택도 있음
단점
- 수급자만 가능
- 일반 소득 입금 시 보호 안 됨
☑️ 우체국 행복 지킴이통장
장점
- 어르신 대상 접근성 좋음
- 보훈급여, 기초연금 수령자에 특화
단점
- 일반 복지급여는 일부 제한
- 우체국에서만 개설 가능
☑️ 전국민 행복 지킴이통장 (지정계좌제)
장점
- 누구나 지정 가능 (복지 비수급자도 포함)
- 월 185만 원까지 급여 보호
- 기존 계좌 활용 가능해 편리
단점
- 월 한도 초과 시 압류 가능
- 일부 은행에서만 시행 중 (카카오뱅크, 토스 미지원)
✅ 행복지킴이 압류방지통장이란?
행복지킴이 압류방지통장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복지급여(기초생활보장, 장애인연금 등)를 압류로부터 보호해주는 특별한 계좌입니다.
즉, 복지 수급자의 생활 자금을 지키기 위해 정부와 금융기관이 만든 전용 통장이라고 보면 됩니다.
이 통장으로 복지금이 입금되면 채권자라도 법적으로 압류할 수 없도록 보호되는 것이 핵심이죠!
💌 우체국 행복지킴이 압류방지통장이란?
우체국 행복지킴이 통장은 우체국에서 운영하는 압류방지 전용 통장으로, 주로 기초연금, 보훈급여 등 특정 복지급여 보호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.
✔️ 주요 특징
- 우체국 전용 상품으로 다른 은행과는 별도
- 기초연금·보훈급여 수급자 중심 운영
- 통장 개설 시 수급 증명서 + 신분증 필요
- 복지금 외의 일반 입금은 압류 위험 존재
📍우체국은 전국 지점이 많고 접근성이 좋아 특히 어르신들에게 인기 있어요!
🧑🤝🧑 전국민 행복지킴이 압류 방지통장이란?
2023년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2025년부터 **전 국민 누구나 이용 가능한 압류방지통장 제도(지정계좌제)**가 시행되고 있어요.
이 통장도 일명 ‘전국민 행복지킴이통장‘으로 불리며, 복지 수급 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.
✔️ 주요 특징
- 전국민 대상으로 확대된 압류방지제도
- 월 185만 원까지 입금 금액 보호
- 일반 급여, 생활비 등도 보호 가능 (범위 내)
- 기존 계좌를 하나 지정하여 등록 가능 (신한, 농협, 하나은행 등 참여)
💡 이 제도는 복지 수급자가 아니더라도 급여 압류 우려가 있는 자영업자, 저소득 근로자에게 매우 유용해요!
📊 세 가지 압류 방지통장 비교표
항목 | 행복지킴이 통장 | 우체국 행복지킴이 | 전국민 행복지킴이 통장 |
---|---|---|---|
대상 | 복지 수급자 | 기초연금·보훈급여 수급자 | 전 국민 누구나 |
발급 기관 | 농협, 신한, 국민 등 | 우체국 전용 | 참여 은행 (신한, 농협 등) |
보호 금액 | 복지급여 전액 | 기초연금 등 특정급여 전액 | 월 185만 원 한도 |
입금 제한 | 복지급여만 보호 | 복지급여만 보호 | 일반 급여도 보호 가능 |
개설 조건 | 수급 증명서, 신분증 | 수급 확인서, 신분증 | 신분증만으로 지정 가능 |
통장 수 | 1인 1계좌만 가능 | 1인 1계좌만 가능 | 1인 1지정계좌만 가능 |